카테고리 없음

11. 주식 용어 간단 정리

리더신승 2021. 1. 29. 18:03

장외거래 : 아직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주식을 거래하는 것.

유상증자 : 주식을 새로 발행해 기존 주주나 새로운 주주에게 파는 것으로 자본 확보 수단임.

무상증자 : 주식의 수를 늘려서 무료로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형태. 호재 쪽으로 해석 가능.

감자 : 유통되고 있는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것. 비교적 악재 쪽으로 해석 가능.

블루칩 :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건실하며 경기변동에 강한 모습을 보이는 대형 우량주를 가리킴.

옐로칩 : 대형 우량주는 아니지만 아직 저평가되어있고 가격이 저렴한 우량주를 가리킴.

작전주 : 시세차익을 노리고 행해지는 주가 조작의 형태를 일컫는 말.

대형주 : 자본금이 750억 이상.

중형주 : 자본금이 350~750억 미만.

소형주 : 자본금이 350억 미만.

주도주 : 상승하는 시기의 시장을 중 장기적으로 이끌고 선도하는 주식.

급등주 : 단기간에 빠르게 상승하는 주식.

테마주 : 여러 개의 종목이 같은 이슈에 움직여서 상승 하락을 반복하는 것.

ex) 방산주, 황사 관련 테마, 그린 뉴딜 테마 등, 테마에 의해 함께 움직임.

동전주 : 주가가 천 원 미만.

가치주 : 저평가가 되어있고 앞으로 많은 상승 여력을 가진 주식.

잡주 : 언제 망하더라도 이상하지 않은 주식회사.

관리종목 : 영업 실적 악화, 부실이 심한 종목이 상장폐지의 우려가 있어 관리종목으로 두어, 투자자들에게 유의하도록 경고를 하는 제도.

상장폐지 : 주식시장의 상장될 수 있는 자격 요건을 상실했을 때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것.

공시 : 사업내용이나 재무 상황, 영업 실적 등 기업의 내용을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알리는 제도. 금융감독원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dart.fss.or.kr/dsab001/main.do?autoSearch=true

 

전자공시시스템 | 공시서류검색 | 회사별 검색

조회건수 15 30 50 100 공시서류검색 목록 번호 공시대상회사 보고서명 제출인 접수일자 비고                                                                                          

dart.fss.or.kr

서킷브레이커(CB) :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투자자들에게 냉정한 판단을 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시장의 모든 매매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 3개의 단계를 거치는데 매매 거래의 중단 요건은 주가 지수가 직전 거래일의 종가보다 8%(1단계), 15%(2단계), 20%(3단계) 이상 하락한 경우 매매 거래 중단의 발동을 예고할 수 있음. 이 상태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주식시장의 모든 종목의 거래는 중단됨. 1단계와 2단계는 거래 중단이 발동되면 20분 동안 시장 내 호가접수와 채권시장을 제외한 현물시장과 연계된 선물시장도 호가 접수 및 매매 거래를 중단함. 3단계는 발동 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주식 거래가 종료됨.

매매거래정지 : 상장기업이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강제로 거래를 중지할 수 있음. ex)(정) 신라젠

공매도 : 특정 종목의 주가가 상승,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면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서 매도를 하는 전략 중 하나. 개인들은 사용할 수 없는 제도. 공매도의 폐지와 찬성 등 많은 의견들이 충돌되고 있음.

우회상장 : 비상장 기업이 상장기업과의 합병 등을 통해서 정상적인 신규 상장 심사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증권시장에 상장된 효과를 가지게 된 것을 말함.

예수금 : 현재 내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

증거금 : 주식 거래 시 최소한으로 내는 현금.

미수금 : 투자자가 당장 매수를 할 금액이 없더라도 신융등을 이용해서 매매를 할 수 있지만, 부족한 부분만큼 채워야 될 금액을 말함. 초보자는 절대로 하면 안 됨.

선물 :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매매해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순환매 : 증시에서 어떤 종목에 호재가 발생해 투자자가 몰려서 주가가 상승하게 될 경우, 그 종목과 연관이 있는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말함. 업종별, 테마별로 나오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어 건설주가 상승하면 그다음은 제약주가 상승하고 그다음은 금융주가 상승하는 이런 형태를 말함. 지수가 상승하는 시기에 상승하는 테마와 업종이 있다면 이다음 다른 업종과 테마라도 옮겨가는 형태가 발생하는데 그 형태를 캐치하는 것이 순환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경우가 됨.

턴어라운드 : 해당 기업이 적자 등 내실이 불안정한 경우에서 기업 조직 개혁과 경영혁신을 통해서 급격히 흑자로 돌아서는 것을 말함. 이런 경우 주가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자전거래 : 거래하는 종목, 수량, 상대방 가격 등을 사전에 모두 정해놓고 매수 매도 거래를 체결하는 거래방식을 말함. 자전거래는 짧은 시간 안에 대량매매가 이루어지므로 자전거래가 발견되는 그 종목은 당일에 거래량과 등락 폭이 커지게 될 수가 있음.

데이트레이딩 : 당일 매수와 매도를 하는 방법입니다. 

자사주 매입 : 자기 회사 주식 가격이 저평가됐다고 판단이 되고, 적대적 m&a에 대비해서 경영권을 보호하고 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자기 회사 주식을 사들이는 행위. 비교적 호재로 해석 가능.

자사주 소각 :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취득하여 이것을 소각하는 것으로,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통해 주주 이익을 꾀하는 기법.

배당 :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해 발생한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

주식배당 : 이익배당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식으로 배당하는 것.

중간배당 : 영업 연도 중간에 예상되는 이익으로 하는 배당을 말함. 반드시 현금으로만 배당할 수 있음.

권리락 :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는 증자 또는 배당을 할 때, 일정 기일을 정하여 그 기준일까지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만 신주를 인수하거나 배당할 권리를 주는데, 기준일 이후에 주식을 매입한 사람에게는 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진다. 이때 기준일을 넘은 주식을 권리락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권리락은 신주의 배정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배당권리가 없어진 것은 '배당락'이라 한다.

배당락 : 배당으로 주식 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해 주가 전액을 배당락 전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을 말함.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배당락 전에 매매를 완료해야 함.

지지선 : 주식차트상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중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 이하로 하락하는 추세를 지지하는 대략적인 가격을 말하는 것.

저항선 : 주식차트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고점을 연결한 선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는 높은 주가 수준을 말함.

변동성 완화장치(VI) : 투자자를 보호하고 개별 주식 종목에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 안전장치가 될 수 있음. 전일 종가 대비 10% 변동을 보였을 때 발동이 되며, 투기성 추종매매 등을 억제해서 개인투자자들에게 경고를 주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음.(키움 hts 0193에서 종목들 확인 가능)

보합 : 주가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인 상태나 그 변동폭이 극히 작은 상태. 어제와 거의 똑같은 거의 0%에 수렴하는 것. 어제보다 약 0.1% 프로 정도의 상승을 보이는 것을 강보합. 어제보다 약간의 하락(약 0.1% 정도의 하락)을 약보합이라고 합니다.

횡보 : 주가의 변동사항이 별로 없고, 차트상에서 옆으로 쭉 기어가는 형태.

조정 : 주가가 상승을 하다가 쉬어가는 형태. 

눌림목 : 상승추세인 종목이 쉬어가는 형태를 찾아 눌려진 형태를 말함.

바닥/지하실 : 눌림목 이후에 상승하지 않고, 밑으로 쭈욱 급락한 형태를 말함.

라운드 피겨 : 천 원, 오천 원, 만 원, 오만 원, 십만 원 등 딱 떨어지는 가격의 형태를 말하며 심리적으로 지지, 저항의 역할을 하게 됨.